12. 8. 3.

[독후감] 확장된 마음(The Extended Mind)

 <Analysis>라는 옥스포드 철학 저널이 있다고 합니다. 1998년에 이 저널에 <확장된 마음(The Extended Mind)>이라는 글 실렸는데요, 체화된 인지 및 능동적 외재주의(active externalism) 등과 관련된 여러 논의들을 촉발시킨 글이라고 합니다.

요즘 읽고 있는 <Supersizing the Mind>라는 책의 부록에 전문이 실려 있어서 읽고 간략히 요약하였습니다. 전에 읽었던 Alva Noe의 <뇌과학의 함정>과는 사뭇 다른 느낌입니다.



 
1. 도입(Introduction)
" 마음이 끝나고 세상이 시작되는 지점은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두 가지 흔한 답은 1) 피부와 두개골 안에 있는 것은 마음이고 그 밖에 있는 것은 세상이라는 관점과 2) 마음이 꼭 머리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외재주의(externalism) 관점이 있습니다. 외재주의 관점에 의하면 마음의 일부가 몸 밖에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여기에서 "일부"란 구체적인 철학적 입장에 다양한데, 예를 들어 <의미론적 외재주의(semantic externalism)>는 단어의 의미가 사람의 머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저 자는 이 두 가지 관점이 아니라 능동적 외재주의(active externalism)라는 또 다른 관점이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관점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입니다. 능동적 외재주의에서는 인지 과정의 일부가 몸 외부(즉 환경)에 있을 뿐 아니라 환경의 역할이 몸 내부의 능동적 인지 과정에 대하여 단순히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무언가가 아니라, 환경 그 자체도 매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즉, 인지 과정이 몸 밖에 외재되어 있는데 그냥 있는게 아니라 매우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라고 해서 능동적 외재주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죠.

 
2. 확장된 인지(Extended Cognition)

컴퓨터 화면에 어떤 도형과 도형을 꽂을 수 있는 소켓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도형이 소켓에 맞는지 안맞는지를 맞추어야 한다고 상상해보세요. 그냥 평범한 심적 회전(mental rotation) 과제죠. 피험자는 머리 속으로 도형을 이리저리 회전시키면서 소켓에 맞출 수 있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저자는 이 실험의 두 가지 변형을 제시합니다. 첫번째 변형에는 화면 속의 도형을 실제로 회전시켜볼 수 있는 버튼이 제시됩니다. 이제 피험자는 머리 속으로 상상을 하지 않고 단순히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도형을 돌려볼 수 있게 됩니다.


두번째 번형에는 버튼 대신 머리 속에 심을 수 있는 신경칩(neural implant)이 주어집니다(이런게 있다고 가정합니다. 어차피 사고실험이니까요). 이제 피험자는 버튼을 누를 필요도 없이 그냥 생각만으로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려서 화면 속의 도형을 실제로 돌릴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상황(평범한 세팅, 조작 버튼, 신경칩)에서 각각 어디까지를 인지적 과정이라고 보아야 할까요? 질문을 약간 바꿔서, 각 상황에는 얼마만큼의 인지(cognition)가 존재할까요? 저자는 세 상황이 모두 동일하다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머리 안에 존재하는 것만 인지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신경칩은 분명 머리 안에 있으니 인지 과정으로 쳐야 합니다. 만약 이를 인정하면 그 신경칩이 머리 밖에 버튼 형태로 존재한다고 해서 그걸 인지 과정으로 보지 말아야할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고 말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죠(일종의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


실제로 한 실험(On Distinguishing Epistemic from Pragmatic Action)에서는 테트리스 게임을 하는 피험자를 관찰하여 (위 주장과 호환되는) 재미있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테트리스를 할 때 블럭을 회전시키는 행동에는 사실 두 가지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는 실제로 도형을 돌리기 위해서 돌리는 실제 행동(pragmatic action)이고, 다른 하나는 도형이 맞는지 보기 위해 돌리는 인식적 행동(epistemic action)라는 것이죠. 저자의 주장은 인식적 행동은 행동이라기보다 인지 과정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맥락에서 세상에는 단순히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푸는 과정 자체도 존재하는 것이며, 인식적 행동이란 세상이 문제 풀이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세상에 변형을 가하는 과정인 것입니다.



3. 능동적 외재주의(Active Externalism)


위 논의를 기반으로 능동적 외재주의 입장을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1) 인간과 환경은 양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단일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2) 이 때, 환경이 딱히 인간에 비해 더 수동적이라고 볼 이유가 없으며, 양쪽 모두 동등하게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아야 한다.


저 자의 주장에 의하면 능동적 외재주의 관점이 일상의 다양한 행동들을 더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고 합니다(설명의 경제성은 좋은 이론의 특징 중 하나죠). 예를 들어 Scrabble 게임(알파벳 조각을 가로세로로 맞추어 단어를 만들어내는 보드 게임)을 할 때, 자기 순서가 오기를 기다리며 자기가 가진 알파벳 조각을 이리저리 재배열하고, 자기 순서가 왔을 때 특정 단어를 만들어내는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어떤 인지적 프로세스가 일어난 것인지 설명하고자 할 때 "내적 인지 프로세스 및 일련의 긴 시각적 입력과 손의 움직임" 등으로 설명하기보다는 "타일의 재배열" 자체를 사고(즉, 인식적 행동)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는 것이죠. (국내에는 Scrabble 게임이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리 좋은 비유가 아닐 것 같습니다. 초보자들이 포커를 하거나 원카드를 할 때 자기 손에 들고 있는 카드를 이리저리 옮겨보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4. 인지에서 마음으로(From Cognition to Mind)

위 사례에서는 (좁은 의미의) 인지 과정에 환경이 능동적으로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저자는 이제 좀 더 넓은 의미에서 마음에 대한 능동적 외재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기 위해 또다른 사고 실험을 도입합니다.


오 토(Otto)와 잉가(Inga)라는 두 사람이 있습니다. 철수와 영희 쯤으로 생각하면 되는 평범한 남자/여자 이름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두 사람이 있는데, 오토는 치매(Alzheimer's disease)에 걸려서 장기 기억이 망가졌습니다. 그래서 오토는 기억하고 싶은 모든 것을 (수첩공주마냥) 수첩에 적어두고, 항시 수첩을 확인합니다.


두 사람 모두 새로 열긴 전시를 보러 전시관에 가고 싶어 합니다. 즉 동일한 욕구(desire)를 가지고 있습니다. 잉가는 전시관이 53번가에 있다는 걸 기억해내고 53번가를 향해 갑니다. 즉 전시관이 53번가에 있다는 **믿음(belief)**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욕구와 믿음으로 설명하곤 합니다). 한편 오토는? 오토는 수첩을 꺼내서 전시관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53번가를 향해 갑니다. 결국 잉가와 오토 모두 전시장으로 가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잉가가 왜 저쪽으로 가고 있지?"라고 묻는다면 누구나 당연히 "잉가는 전시관에 가고 싶어하는데, 전시관이 저쪽에 있다고 믿으니까"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하지만 "오토가 왜 저쪽으로 가고 있지?"라고 묻는다면?


두 가지 대답이 가능할 것입니다. 첫번째는 잉가과 동일하게 "오토는 전시관에 가고 싶어하는데, 전시관이 저쪽에 있다고 믿으니까"라는 대답이고, 두번째는 "오토는 전시관에 가고 싶어하는데, 전시관의 위치가 수첩에 적혀 있다고 믿어서, 수첩을 확인해보니, 전시관에 저쪽에 있다고 적혀 있으니까"라는 대답입니다. 잉가와 오토의 행동에 대한 설명을 도식화하면 이렇습니다:


* 잉가: 전시장에 가고 싶다 -> 전시장의 위치에 대한 믿음에 기반하여 -> 53번가로 이동


* 오토: 전시장에 가고 싶다 -> 전시장의 위치를 수첩에서 확인하고 -> 53번가로 이동


저 자가 이 사고 실험을 제안한 이유는 당연히 두번째 대답보다 첫번째 대답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저자가 생각하기에 오토가 수첩을 확인하는 행위를 구구절절하게 언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사실 잉가도 "전시장의 위치가 53번가"라는 사실을 항상 염두에 두고(working memory)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 기억에서 인출하는 과정이 필요했을텐데 아무도 이런 과정을 구구절절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오토의 경우 그 과정이 외재화(즉 수첩 읽기)되어 있다는 이유 때문에 이 과정을 구구절절하게 설명하고 싶어지는데 이게 사실은 본질적 차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저자가 주장하고 싶어하는 것은 "수첩이 오토의 장기 기억이다"라는 비교적 뻔한 얘기가 아닙니다. 수첩에 담겨 있는 것은 오토의 믿음(belief)라는 것입니다. 즉 믿음이 외재화되어 있다는 것이죠.


어떤 정보가 그저 정보가 아닌 믿음으 로 작용하는 이유가 그 정보가 수행하는 역할에 달려 있는 것이라면, 그 역할이 꼭 머리 속에서만 수행되어야 한다고 간주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The moral is that when it comes to belief, there is nothing sacred about skull and skin. What makes some information count as a belief is the role it plays, and there is no reason why the relevant role can be played only from inside the body). 이건 사실 저자가 말하는  동등성의 원칙(parity principle)을 인지적 과정 뿐 아니라 믿음 등 의식적 경험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동 등성의 원칙(parity principle)이란 이런 개념입니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의 일부가 마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어떤 기능을 수행 한다면, 이를 인지적 과정의 일부로 수용해야 한다는 것(If . . . a part of the world functions as a process which, were it to go on in the head, we would have no hesitation in accepting as part of the cognitive process, then that part of the world is (for that time) part of the cognitive process). (이 부분은 <The Extended Mind> 글에는 없고, 저자가 이후에 쓴 책인 <Supersizing the Mind>에서 발췌하였습니다)




5. 바깥 경계를 넘어서(Beyond the Outer Limits)


한편, 어떤 정보가 믿음이 되려면 다음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1. 해당 정보가 그 사람의 인생에 항상 관여하며 이를 정보를 참고해야하는 상황에서 참고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 참고하고 싶을 때 어려움 없이 언제든 참고할 수 있어야 한다.


3. 일단 그 정보를 참고하면 이를 의심없이 수용한다.


4. 그 정보가 거기에 있는 이유는 과거 언젠가 한 번 그 내용을 신뢰해서 그곳에 그 정보를 수록했기 때문이다.


어떤 정보가 이 네 가지(특히 앞의 세 가지가 중요) 특성을 두루 가지고 있으면 그 정보는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믿음이라는 것이고, 오토의 수첩은 이를 모두 만족하기 때문에 확장된 믿음(extended belief)이라는 것입니다.


마 지막 부분에서는 사회적으로 확장된 인지(socially extended cognition), 자아(self)의 확장, 이러한 논의가 가지는 여러가지 함의들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제가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아서 요약을 생략하겠습니다.



출처 : http://alankang.tistory.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